반응형

전체 글 647

YES24 eBook PC뷰어 설치하여 컴퓨터로 책보기

요즘 참고서를 많이 사고 있고 무게도 점점 무거워지는 게 부담스러워서 Yes24 eBook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핸드폰, 태블릿에는 전부 설치가 되어 있는데 가끔 컴퓨터로 보려고 하면 뷰어 프로그램 찾기가 힘들어서 이번에 설치한 방법대로 공유하려고 합니다. 의미는 없지는 그래도 기본 사양부터 알아봅시다. 이렇게 최소 사양이 명시되어 있지만 지금 와서는 거의 의미 없는 부분인 거 같습니다. 뷰어 프로그램은 아래 yes24 정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YES24 www.yes24.com 사이트 하단으로 내리다 보면 windows 버전과 mac os 버전이 있고 개인의 pc환경에 맞춰서 다운로드해주시면 됩니다. 설치과정은 동일합니다. Windows는 알집 해제 후 설치 파일을 실행하시면 됩니다...

컴퓨터 WinSxS 정리해서 C드라이브 용량 확보 하기

Widows 업데이트 시 시스템 관련 파일이 WinSxS 폴더에 저장이 됩니다.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파일을 삭제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WinSxS 폴더를 강제로 삭제하기 되는 경우 컴퓨터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마이크로소프트 문서에서 얘기하고 있습니다. 해당 폴더는 무조건 수동으로 작업을 해주셔야 하며 아래 방법을 따라 하기에 무리가 있으면 디스크 정리를 추천드립니다. 먼저 윈도우 검색창에 CMD를 입력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해주세요! 정리 전 10.2GB 정도의 파일이 용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명령어는 아래 텍스트 문서에 넣어 두었습니다. 복사 붙여 넣기 해주시면 됩니다. 2번째 작업은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명령어 입력 후 다른 작업하시면 됩니다. 정리..

꿀팁<윈도우!!> 2022.12.13

윈도우 폴더 한눈에 볼 수 있는 TreeSize Free

파일 탐색기는 개인적으로 볼 때 너무 불편하기도 합니다. 파일마다 용량 확인을 하려고 하면 클릭해서 속성 봐야 하며 구조도 한눈에 보이지 않아서 매번 찾기도 힘들었습니다. 이번에 TreeSize Free 프로그램을 통해서 조금 편하게 컴퓨터의 파일 구조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서 추천드릴 겸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프로그램의 이름처럼 폴더를 트리구조로 보기 편하게 제공해주는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물론 각각의 폴더마다 용량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www.jam-software.com/treesize_free 설치는 매우 간단합니다. 언어 선택 및 프로그램 설치 위치만 지정해주시면 됩니다. 설치 위치 지정하셨으면 바탕화면 바로가기 만들기 여부만 확인해주시고 다음으로 넘겨주시면 바로 설치가 완료..

꿀팁<윈도우!!> 2022.12.13

윈도우 11 작업표시줄 왼쪽으로 설정하는 방법

윈도우 10을 사용하다가 11로 넘어오시면 가장 눈에 띄는 것이 작업표시줄인데 중간으로 옮겨진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엄청 신기하지만 왼쪽으로 많이 사용해온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작업 표시줄을 왼쪽으로 옮기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작업표시줄 우클릭을 하시면 설정으로 이동 하실 수 있습니다. 아이콘이 없는 빈 작업표시줄에서 우클릭 해주세요! 작업 표시줄 동작 -> 작업 표시줄 맞춤 -> 왼쪽 왼쪽으로 설정해주시면 작업표시줄이 왼쪽으로 설정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꿀팁<윈도우!!> 2022.12.08

윈도우 11 작업표시줄 투명하게 만들기

가끔씩 유튜브를 보시다 보면 일부 윈도우 11 사용자들의 작업표시줄이 투명해서 신기하셨을 거 같습니다. 오늘은 작업 표시줄을 투명하게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작업표시줄을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컴퓨터에 실행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등을 표시해주는 곳이 작업 표시줄입니다. TranslucentTB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에서 TranslucentTB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주세요! 프로그램 열기를 통해서 실행을 해주시면 아래 사진과 같이 문구가 나오는데 Continue 클릭 작업표시줄에 아이콘 형식으로 표시가 되는데 우클릭하시면 메뉴가 여러 가지 나오게 됩니다. 가장 위에 있는 데스크톱 선택 Accent Color : 작업표시줄 투명도, 색상을 자유롭게 변경 (사용자..

꿀팁<윈도우!!> 2022.12.08

맥 회장하드 인식 안될 때 해결방법

Windows 외장하드에 이어서 맥에서 외장하드 인식이 안 되는 문제를 간단하게 해결해보려고 합니다. 파일 시스템 형식 때문에 이런 문제가 생기는 거 같습니다. 외장하드 구매 시 대부분 파일 시스템 형식이 NTFS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맥 제품에 연결 시 인식이 안 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먼저 런치패드에서 디스크 유틸리티로 이동을 해주시면 됩니다. 디스크 유틸리티에서 인식이 되는 것을 보아 파일 시스템 문제가 맞는 거 같습니다. 해당 외장하드를 포맷 후 새로운 파일 시스템 exFAT으로 부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디스크 유틸리티 왼쪽에서 연결하신 외장하드 클릭 -> 지우기 선택 간단하게 외장하드 이름을 설정 해주세요. 포맷 방식은 ExFAT으로 선택 이후 지우기! 포맷이 완료되면 정상적으로 외장하드 인..

Mac 2022.12.07

외장하드 인식 안될때 간단하게 해결하는 방법

노트북에서 사용하던 2.5인치 하드를 외장하드로 사용하려고 원래 사용하던 데스크톱에 연결 후 장치는 연결되었다고 하는데 하드 아이콘이 없어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셨다면 오늘 간단하게 해결하는 방법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 관리 -> 디스크 관리로 이동!! Windows 11 기준 하단의 아이콘 우클릭 컴퓨터 관리 or 디스크 관리로 이동해주세요! 우측 사진처럼 새로 연결한 외장하드의 정보가 나오는지 확인을 해주시면 됩니다. 제가 연결한 하드는 1TB로 사용 가능 용량은 931GB입니다. 이제 새롭게 포맷하여 사용하기 위해 기존 하드 디스크의 볼륨을 삭제를 해주시면 됩니다. 새로 연결한 하드디스크 우클릭 -> 볼륨 삭제 아래 사진처럼 할당되지 않음 문구가 나올 시 우클릭 -> 새 단순 볼륨 클릭 단순 ..

꿀팁<윈도우!!> 2022.12.07

Ubuntu 22.04 Telnet Server 구축

우분투 22.04.1 LTS 버전에서 텔넷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elnet : 인터넷이나 로컬 영역 네트워크 연결에 쓰이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TCP/IP 기반으로 TCP 23 Port를 사용 가상화 환경 : VMware Workstation Pro 16.1 | Network NAT OS : ubuntu Server 22.04.1 LTS Telnet를 사용하기 전 Package를 설치합니다. $ sudo apt-get install xinetd telnetd Package 설치 후 텔넷 연결을 위하여 설정 파일을 생성 $ sudo vi /etc/xinetd.d/telnet 설정 파일 생성 후 아래 사진과 같이 작성 유저 등 서버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service tel..

맥 타임머신(Time Machine)활용해서 백업하기

맥에도 백업 및 복원을 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타임머신이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타임머신을 활용하면 맥에 있는 앱, 음악, 사진, 이메일 및 문서를 비롯한 개인 데이터를 자동으로 백업이 가능하고 백업이 있으면 삭제한 파일이나 접근할 수 없게 된 파일을 복구도 할 수 있습니다. 타임머신에서는 USB 드라이브 또는 Thunderbolt 드라이브와 같은 외장 저장 장치를 사용하여 백업을 진행합니다. 애플에서 백업을 진행할 때 주의 사항이 있는데 이점은 꼭 주의하셔야 합니다. 백업하려는 모든 디스크 또는 볼륨의 저장 용량보다 2배 이상의 저장 용량을 지닌 백업 디스크를 사용 Time Machine 백업 디스크 전용으로 사용하고 다른 파일의 저장소로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맥 타임머신 백업 진행하기 준비물 ..

Mac 2022.11.28

맥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365 설치하는 방법

맥에서 오피스 365를 설치를 해보려고 합니다. Windows 운영체제와 다른 점이 거의 없기 때문에 쉽게 설치하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식버전을 이용하겠으며 웹에서 사용 시 무료로 오피스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 개인 사용자의 경우 클릭 학생인 경우 클릭 로그인하시면 오피스 설치 탭이 보이실 겁니다. 일반 계정과 학생용 계정입니다. 두 개의 사진처럼 로그인하시면 앱 설치가 가능합니다. 맥 Office 365 설치 위에서 다운로드한 설치 파일 pkg을 열어주시고 아래 사진처럼 진행해주세요. 기본 언어 선택 및 디스크 설치 위치를 선정해야 합니다. 사용자를 위해 설치 = 모든 유저가 전부 사용 가능 특정 디스크 설치 = windows의 C, D같이 지정 설치 저는 모든 사용자를 위해 설치로 진행했..

Mac 2022.11.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