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647

Amazon Linux 메모리와 캐시 메모리를 정리

서버의 메모리 사용율이 너무 높아져서 가끔씩 정리를 하고 있으며 해당 방법을 간단하게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방법은 간단하며 주의 사항으로는 자신이 어떤 데이터를 지우고 있는지 정확하게 알고 있으시면 됩니다. free 명령어를 통해 메모리 사용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ree : Linux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메모리와 캐시/버퍼 메모리, 스왑 공간의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 -b : 메모리 사용 상태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합니다. -k : 메모리 사용 상태를 키로 단위로 표시합니다. (기본값) -m : 메모리 사용 상태를 메가바이트 단위로 표시합니다. -g : 메모리 사용 상태를 기가바이트 단위로 표시합니다. --help : free 명령어의 도움말을 표시합니다. total : 전체 메모리 used ..

Linux 커널 정보 및 버전 확인하는 방법

사용하는 서버의 버전과 커널 정보는 무조건 알고 있어야 합니다. 명령어 몇 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uname Unix/Linux 운영체제의 커널 정보와 운영체제 버전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명령어를 실행하면, 운영체제의 이름, 구조적 타입, 버전, 빌드 번호, 컴퓨터의 고유 이름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요 옵션 -a : 모든 정보를 출력 -m : 컴퓨터의 구조적 타입을 출력 -n : 컴퓨터의 고유 이름을 출력 -r : 운영체제의 커널 버전을 출력 -s : 운영체제의 이름을 출력 /proc/version Linux 커널의 버전과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특수 파일 /proc/version 파일에서는 Linux 커널 버전, 컴파일러, 컴파일 옵션, 컴파일 시간 등의 정보가 포함..

CentOS 7 디스크 RAID, fdisk, mount,mdadm 이론및 RAID 1구성하기

Disk 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은 여러 개의 디스크 드라이브를 결합하여 하나의 논리적인 디스크를 형성하는 기술입니다. 디스크 RAID는 데이터의 안정성을 높이고 시스템의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RAID 0, RAID 1, RAID 5, RAID 6 등의 레벨이 사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은 이론이 많이 함축되어 있습니다. RAID 0 RAID 0 (striped disk array without fault tolerance)은 데이터를 여러 개의 디스크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속도를 개선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RAID 0에서는 디스크의 용량이 절반씩 감소하지만, 읽기와 쓰기 속도가 개선됩니다. 하지만 RAID 0..

CentOS 7 처음 입문하는 분들을 위한 간단한 요점 정리

Linux란? Unix 기반의 무료 오픈 소스 운영 체제 1991년 Linus Torvalds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안정성, 다용성 및 보안으로 인해 개인용 및 기업용으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Linux는 모바일 장치, 임베디드 시스템 및 사물 인터넷(IoT) 장치뿐만 아니라 서버, 슈퍼 컴퓨터 및 기타 고성능 컴퓨팅 응용 프로그램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고도로 사용자 정의가 가능하고 조직의 특정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맞춤화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관리자와 개발자 사이에서 인기 있는 선택입니다. CentOS 란? CentOS (Community Enterprise Operating System)는 오픈 소스의 서버 운영체제 Red Hat Enterprise Linux (RHEL)의 공식 커뮤니티 버전으로 개..

CentOS 7 ftp 구축및 클라이언트 파일질라 업로드

FTP는 알고 계시겠지만 그래도 이론을 다시 한번 잡고 가겠습니다. 인터넷과 같은 TCP 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한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 네트워크 프로토콜 Unix 계열 시스템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안정적이며 안전한 FTP 서버인 vsftpd(Very Secure FTP Daemon) 소프트웨어를 사용 CentOS에서 기본 FTP 서버를 설정하는 단계 아래의 설정은 개인 내부망에서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별도의 보안설정 없이 구축했습니다. vsftpd 설치 전 서버에 설치되어 있는지 #rpm -qa | grep vsftpd로 확인해 주시고 없으시면 설치를 해주세요. $sudo yum install vsftpd -y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으면 rpm -qa | grep ..

CentOS 7 일반 사용자 관리자 권한 부여하기

보통 root 계정을 안 쓰다 보니 가끔 권한이 필요한데 그때마다 계정 스위칭하기는 귀찮고 해서 admin이라는 계정에 관리자 권한을 넣어주려고 합니다. 일단 권한이 없을 시 서버 업데이트 등 제약이 많이 되는데 아래 사진처럼 yum update 명령어조차 실행이 안됩니다. 일단 권한 부여를 위해 잠시 root 계정에 접속하여 vi /etc/sudoers를 편집기로 열어주세요. 100번 줄 root 아래에 똑같은 형식으로 아래와 같이 작성 일반사용자가 sudo 권한을 부여받을 것을 확인가능

CentOS 7 SELinux(Security-Enhanced Linux) 영구적으로 끄는 방법

SELinux : 리자가 시스템 액세스 권한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Linux 시스템용 보안 아키텍처 간단하게 저는 외부에 서비스하고 트래픽이 오가는 서버에서 종료는 권장하지 않습니다. 자동차 경고등 들어온다고 계기판을 뜯어버리지는 않겠죠 내부망에서 사용하고 연습용도라면 끄는 게 실습환경에 이점으로 올 수 있습니다. SELinux기능을 켜고 VNC와 같은 서버를 설치해 보셨으면 아실 수 있지만 제대로 설치해도 뭔가 하나씩 문제가 생기고 잘 안될 때가 있습니다. SELinux 때문입니다. $sestatus 명령어 사용 시 현재 상태 확인 가능합니다. vi /etc/selinux/config SELINUX=diasbled 변경해 주시고 재부팅해주시면 됩니다.

CentOS 7 NIC(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이름 변경하기

CentOS의 NIC 이름을 변경하도록 하겠습니다. 변경하는 이유는 약간 ens33이라는 이름이 이질감이 있고 eth가 보기 편하기 때문입니다. 설정은 간단하니 아래 사진만 보셔도 충분합니다. 먼저 해당 서버의 NIC이름을 알기 위해서 ip addr show, ifconfig 명령어를 사용해서 확인해 주세요. 편집기를 사용하여 /etc/default/grub를 아래 사진처럼 수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첫 번째 사진이 원본이며 두 번째 사진의 빨간 줄처럼 net.ifnames=0을 추가해 주세요. grub 리빌드 /network-scripts 디렉터리의 ens33의 이름을 eth0로 변경 후 컨피그 수정을 하겠습니다. NAME, DEVICE 이름 변경 후 저장 서버 재시작 후 재확인하시면 아래처럼 eth0으..

CentOS 7 ifconfig 명령어 없음 해결

대부분 리눅스 사용하시는 분들은 ifconfig(interface configuration) 명령어에 익숙하실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유닉스 계열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을 위하여 만들어진 시스템 관리 유틸리티입니다. ip addr 명령어 사용 저도 처음에는 ifconfig 명령어를 많이 사용했지만 현재는 ip와 같은 설정 정보들을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어 ip addr 명령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ip addr show ifconfig Install ifconfig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 net-tools라는 패키지를 설치해 주시면 됩니다. $sudo yum install net-tools -y 설치 후 정상적으로 ifconfig 명령어를 사용가능하게 됩니다.

CentOS 7 고정(static) IP 설정하기

CentOS 7 Minimal 버전 설치 후 ip addr 명령어를 통해 네트워크를 확인 중 아이피가 설정이 안 되어 있어 설정을 해주려고 합니다. 당연히 DHCP 방식은 사용 안 하고 고정으로 설정을 해주겠습니다. 스크립트 경로는 아래와 같으며 NIC는 ens33을 사용 중입니다. cd /etc/sysconfig/network-secipts NIC 확인 후 편집기 vi, nano 등 사용하여 ifcfg-ens33 이동 BOOTPROTO dhcp 설정 시 ip 자동할당으로 static으로 변경하여 고정 IP로 사용 PREFIX 서브넷마스크 255.255.255.0 = 24로 설정 | 255.255.0.0 = 16 ONBOOT no 설정 시 부팅 시에 네트워크에 연결 x 가상머신의 대역은 192.168.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