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647

리눅스와 윈도우 운영체제의 다양한 차이점

컴퓨터 운영체제 중 리눅스와 윈도우는 가장 대표적인 운영체제입니다. 리눅스는 유닉스에서 유래한 운영체제로 오픈소스로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며, 윈도우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운영체제로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리눅스와 윈도우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눅스와 윈도우의 차이점 리눅스와 윈도우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입니다. 윈도우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리눅스는 CLI(Command Line Interface)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입력하여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리눅스는 오픈소스로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며,..

리눅스 ssh 접속시 문구 표시하기

설정 전 motd, sshd_banner 설정 2가지가 있습니다. /etc/motd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터미널 또는 SSH 세션을 통해 시스템에 로그인할 때 사용자에게 메시지 또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입니다. /etc/motd 파일은 일반적으로 일반 텍스트 파일 /etc/motd 파일의 내용은 정적이며 동적으로 변경되지 않습니다. 아래 사진과 같이 motd 파일에 출력하고 싶은 텍스트를 입력을 해주시면 됩니다. motd 파일의 경우 배너와는 다르게 ssh 로그인 후 표시가 됩니다. 아래 사진 참고해 주세요. 위에서 설정한 턱스 그림이 나옵니다! sshd_banner ssh 로그인 전에 경고 문구를 표시해 줍니다. 경로는 편하신 경로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일반 텍스트 문서를 만들고 원하시는 문구를 추가합니다..

리눅스(Linux)명령어 정리 2탄 : pwd명령어

Linux에서 pwd 명령어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생각보다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로 앞에서 보신 cd, ls에 추가하여 필수로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pwd 명령어 : 현재 작업 디렉터리를 나타냅니다. 터미널에서 현재 작업 디렉터리(현재 있는 디렉터리)를 표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터미널을 열거나 디렉터리를 변경할 때 현재 디렉터리를 확인하고 싶을 수 있으며 이때 pwd 명령어가 유용합니다. 옵션 -L 현재 작업 디렉터리의 논리적 경로를 표시합니다. 기본 동작입니다. -P 현재 작업 디렉터리의 물리적 경로를 표시하여 심볼릭 링크를 확인합니다. --도움말 도움말 메시지와 pwd 명령에 사용 가능한 옵션 목록을 표시합니다. --버전 pwd 명령의 버전 정보를 표시합니다. 옵션은 있..

NCP centos 7서버 무차별 대입공격 feat.이란

ncp 마이크로 서버로 잠시 테스트를 진행 중 ssh 로그인에 이상이 있는 것을 느끼고 로그를 본 순간 특정 IP에서 공격이 들어오는 것을 감지했다... 뭐 딱 보니 무차별 대입 공격으로 공유된 자료도 여러 가지이고 해서 공격하는 IP를 차단하려고 한다. 글을 쓰는 이 순간에도 계속 공격하는 이란.. 참 애정도 남다른 거 같은데 보면 볼수록 짜증 나고 로그 파일의 용량은 계속 커지고 있어 깔끔하게 차단하고 보내주려고 합니다. 대충 ssh 접속해서 로그를 확인해 보면 아래 사진과 같이 각 나라에서 x병을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제가 사용한 명령어는 아래와 같으며 sudo journalctl _COMM=sshd | grep "Accepted\|Failed" 간단하게 보자면 시스템 로그를 확인하고 ..

[Linux] Apache(아파치) 로그 확인하는 방법

Linux Apache Word Press 서버의 로그 확인하는 방법 로그의 디렉터리 경로는 환경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root@localhost httpd]# pwd /var/log/httpd 저의 경우 /var/log/httpd 디렉터리 안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설치 환경에 따라 /var/log/apache2가 될 수도 있습니다. httpd에 접근을 하게 되면 2가지의 로그 파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파치의 오류 로그를 확인하시려면 error_log, 액세스 로그 확인은 access_log입니다. 실제로 access_log를 확인하면 어디서 접근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1. access_log tail 명령어를 사용하여 확인이 가능합니다. ex) tail -5 access_log, tail ..

리눅스(Linux)명령어 정리 1탄 : cd 명령어

리눅스 명령어 정리 1탄 cd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d command?? cd 명령은 현재 작업 디렉터리를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Linux의 기본 명령입니다. cd 명령어의 경우 위의 설명과 같이 디렉터리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현재 위치의 디렉터리에서 다른 디렉토리로 접근하는 명령어라고 간단하게 생각하면 될 거 같습니다. 즉, cd 디렉토리 변경 명령어이다. 리눅스 명령어에는 다양한 옵션이 있으며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cd도 마찬가지로 아래와 같이 기본 옵션이 있으며 지금 환경에 맞춰서 옵션 선택하시면 됩니다. [40][03:46:56]admin:~$ [40][03:46:56]admin:~$ pwd /home/admin [41][03:46:57]admin:~$ c..

리눅스 su와 su - 명령어의 차이점

Linux의 su 명령은 "대체 사용자"를 나타내며 다른 사용자 계정(일반적으로 루트 사용자)으로 전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명령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상승된 권한이 필요한 관리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username 인수가 제공되지 않으면 명령은 기본적으로 루트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됩니다. 전환하려는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표시됩니다. 성공하면 새 사용자 계정의 상승된 권한으로 명령이 실행됩니다. su 명령에 대한 몇 가지 일반적인 옵션 -: 이 옵션은 전환되는 사용자 계정의 전체 로그인을 시뮬레이트하는 데 사용됩니다. 새 사용자가 직접 로그인한 것처럼 환경 변수와 홈 디렉터리를 새 사용자의 것으로 설정합니다. -c: 이 옵션을 사용하면 먼저 로그인할 필요..

MySQL root 사용자에 대한 암호 없이 접속 설정

root 사용자로 Mysql접근 시 비밀번호 인증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고 바로 Mysql에 접근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알아보려고 합니다. 홈 디렉터리(루트 사용자의 경우 /root)에. my.cnf라는 파일을 만들고 다음 줄을 추가 위에 과정은 su 접근 시 pwd 명령어로 위치 확인을 해주시면 알 수 있습니다. .my.cnf 라는 파일을 파일 편집기를 이용하여 만들어주세요. [client] user=root password=root 비밀번호 입력 my.cnf 파일에 다음 명령으로 설정할 수 있는 올바른 파일 권한(600)이 있는지 확인 #mysql 접근 감사합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NCP) Micro 서버 생성 후 접속까지

NCP 가입 후 1년 동안 Micro 서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AWS와 동일하게 결제 등록을 해주셔야 하며 NCP콘솔 계정에 가입을 해주셔야 합니다. 오늘 생성하는 서버 같은 경우 한국 리전에서만 이용이 가능하며 1대만 생성이 가능합니다 Classic 1세대, 2세대, VPC 등이 있으며 마이크로 서버의 경우 Classic 1세대에 해당합니다. 서버 스펙의 경우 아래와 같이 할당이 됩니다. [MICRO] 1vCPU, 1GB Mem, 50GB Disk [g1] https://www.ncloud.com/ 회원가입과 결제 등록 같은 경우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사이트에서 해주시면 됩니다. 절차는 간단하여 5분 안에 하실 수 있습니다. 메인 페이지 우측 상단 "콘솔" 페이지에 접근하여 Services ..

리눅스 시스템 간단한 정보 조회 스크립트

호스트네임 커널 정보 CPU 타입 메모리 용량 디스크 용량 ( /) 기준 #!/bin/bash echo "Hostname: $(hostname)" echo "Kernel Version: $(uname -r)" echo "CPU Type: $(lscpu | grep "Model name:" | cut -d':' -f2 | xargs)" echo "Total Memory: $(free -m | awk '/^Mem:/{print $2}') MB" echo "Disk Space: $(df -h / | awk '/\//{print $(NF-1)}') used out of $(df -h / | awk '/\//{print $(NF-4)}')" nano, vi 등 편집기로 (name). sh 생성 후 위에 스크립트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