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머신에 GNS3를 연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치 환경이 달라지면 오류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파일은 아래 링크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networkrare.com/free-download-cisco-ios-images-for-gns3-and-eve-ng/
GNS3 vmware 연동
가상 머신 파일을 먼저 준비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HXtmc/btrrJuB2iTq/d74oxssF4j9fHqiOmvEo7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S25Bg/btrrJT9wHnq/nNIDvBLJl3EK8cieXKWHB1/img.png)
vm.ova를 설치하신 분들은 아래와 같이 열어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dMRiih/btrrKIfvulf/F07cVUUykebbKcWzQT8Df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L5NP2/btrrPo1F1uy/shlffK7TvDHiyXHIQxm570/img.png)
이름과 경로 설정
![](https://blog.kakaocdn.net/dn/Gnedh/btrrPn9xaij/JonntYnjOUQXn1hZDLXomK/img.png)
아래의 설정은 저의 실습 환경에 맞춰서 설정하고 있습니다.
참고용입니다. 각자 실습 환경에 맞춰서 구성해 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cZEdoM/btrrOdlMH6U/FwXolKxfY9rjh5mjCdYr60/img.png)
Processors의 가상화는 전부 체크해 주겠습니다.
이 부분을 체크하시고 가상 머신 구동 시 오류가 나는 분들은
바이오스에서 가상화를 켜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doL9UC/btrrP5m2dB4/n1jkJlwdiLg4K8gVel6HR0/img.png)
VMnet1의 아이피를 아래와 같이 변경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69snQ/btrrJUHlIyM/agMeUzrkx6QJKLgqRTv681/img.png)
구동~
![](https://blog.kakaocdn.net/dn/co6uLG/btrrPPdEyhj/Lm4asKQIZZNcNrNgpuOvJ1/img.png)
엔터를 누르시면 넘길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xcmMU/btrrPom5CAF/OJIwrs5nQQT3DQxI9uKl0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XL4Bo/btrrLNVb87M/vBwxzGWtAlIDX1WON1yrD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PE5JU/btrrJUm06ai/A6UzD0w8nfpqAr3xMB6AR0/img.png)
DHCP 기능을 꺼주시고 수동 static 방식으로 아이피를 부여하도록 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GugNf/btrrQzBpLME/XKRxkGjtrgeACM1DjcdAH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nzwnF/btrrKIzRdJ1/Ae5SAjLaaCTkheVp6xLfQK/img.png)
여기까지 GNS3VM 구성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LINak/btrrJThnpiq/c9g7oIfHgFvTJeyXvvEdKK/img.png)
위의 구성이 끝나시면 GNS3 VM에
아이피 : 10.10.10.10
핑을 한번 보내주시고 핑이 가시는지 확인해 주세요.
안되시는 분들은 댓글 달아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GNS3를 다시 켜주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는데 첫 번째 설정 부분을
체크하시고 다음으로 넘기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UN7gQ/btrrPotToYc/AyKr2nBjVYsv0BSEsKIXW1/img.png)
VMnet1의 아이피 10.10.10.1을 선택해 주세요.
![](https://blog.kakaocdn.net/dn/bkzEoO/btrrQyP1U51/0aoDqgtp6tUpOeOqp8xqV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2khFV/btrrP4Pb2tB/5MLQYWVQiMWemf1aHK4V00/img.png)
이름과 RAM 사이즈는 4기가로 부여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kJenZ/btrrP4IqvkV/ckdC8kfKbWUk7de62l3ND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e80iO/btrrRdx6PBg/ms3wIPGq7akDqeI3GA1QNk/img.png)
이렇게 vmware와 연동을 간단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J6VY2/btrrOc1vxXe/gOj435eqfKLeEVnher3KVk/img.png)
위와 같이 초록불 2개를 확인해 주세요.
-오류 메시지는 신경 안 쓰셔도 됩니다.
설정하다가 중간에 잘못 넣어서 다시 재설정하다가 발생한 오류 코드라 위의 설정과
연관성은 없습니다.
정상적으로 설정해 주셨다면 오류 없이 정상 작동합니다.
'보안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ACL(Access Control List) & numbered standard ACL (0) | 2022.02.11 |
---|---|
네트워크 공부를 위한 GNS3 설치 (0) | 2022.01.27 |
GNS3 IOU, IOS(이미지 파일) 추가 설정 방법 (1) | 2022.01.26 |
CDP Flooding Attack (0) | 2022.01.26 |
RootGuard & BPDU Attack (0) | 2022.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