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미로하는 공부 96

윈도우 서버 2012 저장소 공간 관리

저장소 공간(Storage Space) 윈도우 서버 2012부터 지원 중 여러 개의 물리적인 디스크를 하나로 합쳐, 사용자에게는 새로운 논리적인 디스크로 제공하는 기능 RAID는 관련 포스팅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미러 RAID 1 개념으로 양방향 및 3방향 미러를 지원하며 양방향은 최소 2개, 3방향은 최소 5개의 디스크가 필요 50% OR 33% 미만의 공간 효율을 갖는다. (데이터의 안전성은 뛰어남) 패리티 RAID 5 개념으로 패리티 비티가 사용, 안전성이 올라가지만 용량은 감소한다. 최소 3개의 디스크가 필요 단순(복원 기능 없음) RAID 0 개념으로 100% 공간 효율과 뛰어난 성능, 하지만 안전성은 보장되지 않는다. 1개 이상의 디스크로 구성 가능 저장소 공간의 특징 교체 전용 디스크의 예..

윈도우 서버 2012 R2 RAID이론 및 구현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이므로 틀린 부분이 있을 시 댓글로 지적 부탁드립니다. RAID?? RAID의 개념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OR (Independent) Disks의 약자 저렴한 저용량의 디스크를 여러 개를 하나의 비싼 대용량 디스크로 사용하는 것이 목적 하드웨어 RAID와 소프트웨어 RAID로 분류 ex) 1TB HDD 10개를 가지고 마치 10TB HDD 1개처럼 사용하는 것 하드웨어 RAID 하드웨어 장치로 RAID를 구성하는 것 소프트웨어 RAID 컴퓨터에 장착된 여러 개의 디스크를 RAID로 구성하는 기능, 이러한 기능을 운영체제에서 지원함 하드웨어 RAID보다 안정성이 떨어지나 디스크를 추가하면 빠르게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성 가능 RAID 레벨 ..

Bandit Level 11 → Level 12 (Rot13)

문제를 풀기 전에 Rot13에 대한 위키백과를 한번 추천드립니다. 해결 방법을 찾지 못하다가 위키백과를 통해서 한 번에 해결했습니다. ROT13 - Wikipedia Simple encryption method ROT13 replaces each letter by its partner 13 characters further along the alphabet. For example, HELLO becomes URYYB (or, conversely, URYYB becomes HELLO again). ROT13 ("rotate by 13 places", sometimes hyphenated ROT-13) is a simpl en.wikipedia.org 모든 소문자(az) 및 대문자(AZ)가 13자리 회전되었..

Bandit Level 10 → Level 11 (base64 data.txt)

전 단계 암호입니다. ssh -p2220 bandit9@bandit.labs.overthewire.org truKLdjsbJ5g7yyJ2X2R0o3a5HQJFuLk 문제를 잠깐 읽어보면 base64 인코딩이 되어 있는 데이터라는 말이 보입니다. data.txt를 base64 디코딩을 해주면 되는 문제 같습니다. 문제의 data.txt 파일을 cat으로 확인 시 인코딩이 되어 있는 데이터 값이 보입니다. #base64 --decode 명령어를 통해서 data.txt를 디코딩을 해주시면 간단하게 패스워드를 얻어낼 수 있습니다.

윈도우 서버 및 윈도우 암호 재설정

윈도우 서버 암호화를 위한 디스크 장착 플로피 디스크는 윈도우 서버의 암호를 재설정을 위해서 사용하겠습니다. 윈도우 서버에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더블 클릭 시 포맷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계정에서 암호 재설정 디스크 만들기 포맷을 해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선택 현재 사용자의 계정 암호 입력 다음 클릭 시 디스크 생성 User1이나 사용자 계정에서 암호를 1번 틀리시면 암호 재설정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암호 재설정 디스크를 선택 후 다음 새로운 암호를 입력 후 접속 가능 많이 사용을 안 하시면 암호가 기억이 안 나서 재설치하거나 그러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런 형식으로 디스크를 만들어 두면 추후에 암호가 기억이 안나도 금방 재설정이 가능한 편리한 기능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