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미로하는 공부 96

Bandit Level 8 → Level 9 (stored in the file data.txt)

문제를 먼저 확인하겠습니다. data.txt라는 파일을 중복을 제거해서 비밀번호를 찾으라는 문제 같습니다. 먼저 bandit8 ssh에서 $ls -la를 하면 문제에서 제시한 data.txt 파일이 있는 것을 확인 sort명령어를 통해서 먼저 해당 파일을 열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너무 난잡하게 출력이 되는데 리눅스 명령어 중에 중복을 제거해주는 명령어 uniq를 사용하면 쉽게 비밀번호를 찾을 수 있습니다. cat data.txt | sort | uniq -u uniq -u 옵션은 중복되지 않는 라인만 표시 uniq -c | grep "1"를 통해서도 답을 얻을 수 있는데 몇 가지 옵션을 사용해 보니 -u옵션이 제일 편하고 쉬웠습니다.

[sqld] 데이터 모델과 성능 정규화(Normalization)

정규화 (Normalization)**** 데이터의 일관성, 최소한의 데이터 중복, 최대한의 데이터 유연성을 위한 방법이며 데이터를 분해하는 과정 데이터 중복을 제거하며 데이터 모델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 비즈니스에 변화가 발생하여도 데이터 모델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정규화부터 제5 정규화까지 있지만, 실질적으로 제3정규화까지만 수행 불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중복 데이터가 제거된다. *정규화를 하지 않아 이상현상이 존재하는 모델입니다. *정규화를 진행한 사진 > 정규화 절차 정규화 절차 설명 제1정규화 - 속성의 원자성을 확보한다. - 기본키를 설정한다. 제2정규화 - 기본키가 2개 이상의 속성으로 이루어진 경우 부분 함수 종속성을 제거(분해)한다. 제3정규화 - ..

[sqld] 데이터 모델링 이론 문제 간단 정리

데이터 모델링의 주요 특징 추상화 단순화 명확화 데이터 모델링의 절차 개념적 모델링 -> 논리적 모델링 -> 물리적 모델링 데이터 모델의 3가지 관점 데이터 프로세스 데이터와 프로세스 ERD 작성 절차 엔터티를 도출하고 그리기 앤터티 배치하기 엔터티 간의 관계 설정하기 엔터티 서술하기 관계 참여도 표현하기 관계의 필수 여부를 표현하기 3층 스키마의 구조 외부 스키마 : 응용 프로그램이 접근하는 데이터베이스 개념 스키마 :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조 내부 스키마 : 물리적 저장 구조 엔터티의 특징 반드시 속성이 있어야 한다. 다른 엔터티와 최소한 한 개 이상의 관계가 있어야 한다. 2개 이상의 인스턴스가 있어야 한다. 엔터티에는 유일한 식별자가 있어야 한다. 엔터티의 유무형에 따른 분류 유형 엔터티 개념 엔터..

Bandit Level 7 → Level 8 (millionth data.txt)

문제를 자세히 읽어봐야 할거 같습니다. 30분이라는 시간을 가져다가 버린 거 같습니다.. ㅠ data.txt안에 millionth라는 문자열 라인에 다음 단계의 비밀번호가 있다는 거 같습니다. 문제를 접하기 전에 cat명령어로 data.txt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을 해봤습니다. 대충 보시면 [특정 문자열] [패스워드] 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grep 명령어를 통해서 millionth 문자열을 찾아내면 쉽게 풀 수 있습니다. grep "millionth" data.txt를 통해서 먼저 찾았고 grep -w 옵션을 사용해서 찾았습니다.

Bandit Level 6 → Level 7 (somewhere on the server)

일단 문제만 봐서는 전편 문제랑 유사합니다. 서버 어딘가에 있는 패스워드 파일을 찾아내면 되는 거 같습니다. ssh에 접속 후 바로 ls -la로 확인 후 아무것도 없는 것을 확인하고 최상위 디렉터리 /로 이동을 하였습니다. 전 단계처럼 무식하게 find -size 33c로 찾으려고 했더니 접근 거부 등 엄청 많은 파일이 검색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문제의 조건에 맞춰서 find / -user bandit7 -group bandit6 -size 33c로 찾았더니 permission denied가 걸린 파일들이 너무 많고 cat으로 하나씩 보려고 하면 무식한 방법인 거 같았습니다. 너무 궁금해서 구글링을 하던 도중 2>/dev/null을 리디렉션을 찾게 되었습니다. 리눅스에서는 >를 통해서 출력 방향을 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