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646

Rocky Linux rsync 외장 하드,SSD,USB Mount

보통 리눅스들의 외장 저장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거의 같은 절차를 수행하게 됩니다. Rocky Linux에서 외장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방법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mount Unix 운영체제에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하는 명령어입니다.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하는 것은 파일 시스템이 장치에 연결되어 운영 체제에서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입니다. 마운트 작업은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필수 작업 중 하나입니다. 주요 옵션 옵션 설명 -a 모든 파일 시스템을 /etc/fstab에 마운트합니다. -f 파일 시스템을 강제로 마운트합니다. -t type 파일 시스템 유형을 지정합니다. -o options 마운트 옵션을 지정합니다. -r 파일 시스템을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합니다. -w 파일 ..

M1 Mac How to install Rocky Linux

Rocky Linux Rocky Linux는 엔터프라이즈급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안정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무료 오픈 소스 운영 체제 RHEL(Red Hat Enterprise Linux)의 소스 코드를 사용하여 구축되었으며 RHEL 에코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Rocky Linux는 RHEL에 대한 보다 투명하고 커뮤니티 기반의 대안을 제공하는 동시에 엔터프라이즈급 안정성과 보안을 제공한다는 목표로 만들어졌습니다. Rocky Linux의 주요 기능 중 일부는 다중 아키텍처 지원, 강력한 패키지 관리 시스템, 보안 및 규정 준수에 중점을 둡니다. Rocky Linux ISO Download -> Link Rocky Linux 장점과 단점 록키 리..

Mac 2023.02.05

Linux NIC(Network Interface Card) Bandwidth

NIC Bandwidth 리눅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치의 최대 전송 대역폭을 의미 즉, 네트워크 장치가 1초에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대역폭은 전송 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높은 대역폭은 높은 전송 속도와 낮은 네트워크 대기 시간을 의미합니다. NIC Bandwidth를 설정하는 이유 네트워크 장치의 최대 전송 속도를 제한하기 위해서입니다. 네트워크 관련 작업이 많이 일어나는 서버에서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적절히 관리하여 다른 작업을 영향 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또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에 대한 네트워크 자원을 결정하기 위해서도 NIC Bandwidth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 AmazonLinux 2 NIC Bandwidth 설정 ..

Amazon Linux 특정 사용자만 접근가능한 디렉터리 생성하기

서버에 shimon이라는 사용자를 만들고 해당 사용자만 접근 가능한 디렉터리를 만들려고 합니다. 사용자 별로 데이터를 분리하여 관리하기 위함입니다. 사용자 생성 useradd, passwd 명령어를 통해 각자 환경에 맞는 사용자를 1개 생성 디렉터리 생성 후 권한 부여 Dshimon 디렉터리를 생성 후 권한부여 이렇게 ec2-user가 shimon 디렉터리에 접근하려고 하면 권한 없음으로 인해 접근이 불가합니다. 이렇게 간단한 과정을 통해 특정 사용자만의 디렉터리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권한 명령어를 자세히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 참고해 주세요. chown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소유자나 소유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변경할 수 있습니..

Amazon Linux 메모리와 캐시 메모리를 정리

서버의 메모리 사용율이 너무 높아져서 가끔씩 정리를 하고 있으며 해당 방법을 간단하게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방법은 간단하며 주의 사항으로는 자신이 어떤 데이터를 지우고 있는지 정확하게 알고 있으시면 됩니다. free 명령어를 통해 메모리 사용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ree : Linux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메모리와 캐시/버퍼 메모리, 스왑 공간의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 -b : 메모리 사용 상태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합니다. -k : 메모리 사용 상태를 키로 단위로 표시합니다. (기본값) -m : 메모리 사용 상태를 메가바이트 단위로 표시합니다. -g : 메모리 사용 상태를 기가바이트 단위로 표시합니다. --help : free 명령어의 도움말을 표시합니다. total : 전체 메모리 used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