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entos7 7

CentOS 7 리눅스 사용 시 알면 좋은 필수 개념

**개인적으로 공부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현재 리눅스를 실행하면 자동으로 x 윈도가 실행이 된다. X원도(x windows) :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윈도우와 같은 GUI를 리눅스에 제공하는 유틸리티 x윈도를 사용할 수 있게 Centos OR kali linux는 기본적으로 그놈(GNOME)이라는 데스크탑 환경을 제공하며, KDE라는 환경도 사용가능 X 윈도 시스템 종료 칼리 리눅스 기준으로 바탕화면 -> 전원 아이콘 -> 시스템 종료 OR 다시 시작 -> 로그아웃 등 터미널/콘솔에서 시스템 종료 명령 시스템 종료 명령으로는 poweroff, shutdown –P now, halt –p, init 0 #shutdown -P + 10 > 10분 후에 종료(P : poweroff) #shut..

CentOS7 grub 잠금 보안 설정

grub 잠금 보안 설정하는 법 안전모드로 불리는 곳을 잠금을 설정하여 보안을 높이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보안 설정 보안 설정하기 전에 "e"를 한번 언급을 했습니다. 어떻게 생긴 것인지 확인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이렇게 생긴 화면입니다. 기본적으로는 e를 누르시게 되면 바로 이렇게 들어가지만 간단한 문서 편집으로 잠금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centos 7 구동 일단 터미널을 켜시고 "vi"명령어로 파일을 하나 열겠습니다. /etc/grub.d/00_header vi 명령어로 파일을 열러 줍니다. 1. set nu == 줄 넘버 표시 2. SHIFT + g == 맨 아래 줄로 이동 위에 써주신 내용대로 하시면 맨 아래 줄로 커서가 이동이 되실 겁니다. cat

CentOS7 yum 명령어 package 설치

저번에는 rpm 명령어를 통해서 패키지를 수동으로 설치하였습니다. 이번에는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 환경에서의 패키지 설치를 해보겠습니다. 어떻게 보면 yum 명령어가 더 편리하지만 인터넷이라는 조건이 따라오기 때문에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일단 yum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yum == yellowdog update modified == RPM 기반 시스템에서 패키지 설치/제거 작업을 하는 관리 명령 yum update == 업데이트 가능한 패키지들을 조회 후 업데이트 작업 ==리눅스 설치 이후 초기 설정 작업 yum install [package] == 패키지 설치 옵션 -y 사용 시 점부 yse 장점 : [의존성 자동 해결] 단점 : [인터넷 x ] *작업할 패키 지명을 알고 ..

CentOS7 하드 디스크 LVM 구성하기

LVM (Logical Volume Manager) : 논리 하드디스크 관리자 여러 개의 하드를 합쳐서 한 개의 파티션으로 구성 후 다시 필요에 따라 나눌 수가 있다. 저장 장치를 조금 더 효율적이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2개의 하드를 합쳐서 5GB를 만들 것이기 때문에 2GB + 3GB를 추가를 해주시면 됩니다. RAID와 동일하게 접속 시 무조건 하드디스크가 제대로 추가됐는지를 확인을 해주세요~ Command : n (새로운 파티션 분할) Select : p (Primary 파티션 선택) Partition number : 1 (파티션 번호 1 선택) First Cylinder : 엔터 (시작 실린더 번호) Last Cylinder : 엔터 (마지막 실린더 번호) Command : t (파..

CentOS7 Openssh 접속

Openssh는 기본적으로 패키지 등 서비스들이 자동으로 켜져 있으므로 따로 설정은 안 해주셔도 됩니다 ~ 접속시 사용하는 아이디는 :teluser1을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1.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rpm -qa] 2. 서비스가 작동되고 있는지 확인 [systemctl] Client가 망가진 상태여서 다른 서버로 대신 접속 접속방식 : #ssh 사용자 이름@호스트 이름 OR #ssh 사용자 이름@IP 주소 텔넷으로도 접속이 가능하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