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Mac) 운영체제에서 윈도우용 키보드를 사용해야 할 때, 키 배열이 달라 불편함을 느끼셨던 적 있으신가요? 특히 Command, Option, Control 키의 위치가 달라서 맥 단축키 사용에 어려움을 겪으셨을 겁니다. 하지만 걱정 마세요! 맥 설정 변경을 통해 윈도우 키보드를 맥 키보드처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윈도우 키보드를 맥에 최적화하여 설정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단 몇 분 투자로 윈도우 키보드에서도 맥의 모든 기능을 불편함 없이 활용해 보세요!
윈도우 키보드, 맥 키보드처럼 만들기 - 핵심은 '키 변경'!
윈도우 키보드와 맥 키보드의 가장 큰 차이점은 Modifier Keys 배열입니다. 특히 Control
, Alt
, Command
키의 위치가 서로 달라서 맥 단축키를 윈도우 키보드로 사용하려면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macOS에서는 Modifier Keys의 역할을 사용자에 맞게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윈도우 키보드의 키를 맥 키보드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맥(Mac)에서 윈도우 키보드 배열 설정하는 방법 - 단계별 완벽 가이드 🖱️
이제부터 윈도우 키보드를 맥에 맞춰 설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자세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단계: 시스템 설정 (System Settings) 실행
- 화면 왼쪽 상단의 Apple 메뉴 () 를 클릭합니다.
- 메뉴에서 '시스템 설정...' 을 선택합니다.
2단계: '키보드 (Keyboard)' 설정 메뉴 진입
- 시스템 설정 창이 나타나면, 왼쪽 사이드바에서 아래로 스크롤하여 '키보드' 를 찾아서 클릭합니다.
- Option (⌥) Key: 드롭다운 메뉴를 클릭하여 'Command (⌘)' 를 선택합니다.
- Command (⌘) Key: 드롭다운 메뉴를 클릭하여 'Option (⌥)' 를 선택합니다.
- Control (⌃) Key: 'Control (⌃) Key' 로 그대로 둡니다. (또는 필요에 따라 'No Action' 등으로 변경 가능)
- Caps Lock Key: 'No Action' 또는 'Caps Lock Key' 로 그대로 둡니다. (사용 빈도에 따라 선택)
5단계: 변경 사항 적용 및 확인
- 설정이 완료되면, 윈도우 키보드의 Alt 키가 Command 키 역할을, Windows 키 (시작 키) 가 Option 키 역할을, Control 키는 그대로 Control 키 역할을 하게 됩니다.
설정 완료! 이제 윈도우 키보드로 맥 단축키를 자유롭게 사용해 보세요!
왜 이렇게 설정해야 할까요? - 설정 효과 및 활용 팁 💡
위와 같이 윈도우 키보드 키 배열을 맥에 맞게 설정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맥 단축키 완벽 호환:
Command + C (복사)
,Command + V (붙여넣기)
,Command + Spacebar (Spotlight 검색)
등 기존 맥 키보드 단축키를 윈도우 키보드의 Alt 키를 사용하여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맥에서 사용하던 작업 흐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 근본적인 키 위치 문제 해결: 윈도우 키보드와 맥 키보드의 키 위치 차이로 인한 혼란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오타 발생률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윈도우 키보드 활용도 극대화: 집에 남는 윈도우 키보드나 저렴한 윈도우 키보드를 맥에서 полноценно 활용하여 추가 비용 없이 편리한 작업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팁
- Option 키 활용: 윈도우 키보드의 Windows 키 (시작 키) 가 Option 키 역할을 하므로, Option 키를 활용하는 맥 단축키 (ex. Option + 드래그로 파일 복사) 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Caps Lock 키: Caps Lock 키를 'No Action'으로 설정하면 Caps Lock 기능을 비활성화하여 오타를 방지하고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 Caps Lock 기능을 유지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이제 윈도우 키보드에서도 맥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Ma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파리 브라우저 텍스트 맞춤법 및 빨간줄 없애는 방법 (0) | 2023.11.15 |
---|---|
맥(Mac) 손쉬운 사용 AEServer란 무엇인가? (2) | 2023.07.16 |
Mac의 Power Nap(잠자기) 기능 - 절전 모드 상태에서도 최신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 (1) | 2023.07.15 |
Apple Silicon 맥 제품에서 패러렐즈(Parallels) 사용하여 윈도우 사용 (1) | 2023.07.15 |
M1 Mac How to install Rocky Linux (2) | 2023.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