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NS를 설정하는 방법
- DNS 설정하기 전에 이 파트는 암기가 필요하여 정리한 것을 먼저 보고 푸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DNS 설정파일의 구조](https://blog.kakaocdn.net/dn/b9CZfZ/btrsJL2QJAf/rnvpfgUMkRlQqKBYlJ8yp0/img.png)
![DNS 설정 문제](https://blog.kakaocdn.net/dn/tqGl5/btrsA6Uv0el/WLXHVoQptOTSleGcMqiFIk/img.png)
정방향 -> 새 영역 생성
![DNS 새 영역 생성](https://blog.kakaocdn.net/dn/bYDiQ4/btrsO3gTrfY/lV6rIVQwb4KFrGUa5wtfTK/img.png)
다음... 다음...
![DNS 설치 마법사](https://blog.kakaocdn.net/dn/KV4lH/btrsJKXbXSN/Md75PnfkgchqT5vBCRxYiK/img.png)
![DNS 주 영역 설정](https://blog.kakaocdn.net/dn/bURChx/btrsFtaASU1/lUPaVJJSwFCN4FACRLzV10/img.png)
영역 이름 [icqa.or.kr]을 입력
![DNS 영역의 이름](https://blog.kakaocdn.net/dn/bmo1ug/btrsHH7xJsR/oKkMoKsnQlHov2Rt6F0UUk/img.png)
다음 -> 다음 -> 다음@#!
![DNS 이름](https://blog.kakaocdn.net/dn/s1Qt0/btrsHGAJwaG/X4FprlVQP9Un4WpdvIjkP0/img.png)
![DNS 동적 업데이트](https://blog.kakaocdn.net/dn/cjtFuY/btrsMz1GeP8/OLOgRKP1NPLJg7psnK0dR1/img.png)
![영역 생성 완료](https://blog.kakaocdn.net/dn/XksYL/btrsHGAJwfd/exFTSZj3VL6qQBlkLZaKPk/img.png)
위의 설명 그림을 참고하여 SOA 영역을 채워주시면 되겠습니다.
![DNS의 SOA 영역 설정](https://blog.kakaocdn.net/dn/bEmFHX/btrsL99Ybsn/oLIsqrzGKPXlvOcUCOqEtK/img.png)
아까 icqa.or.kr 이름으로 생성한 DNS를 우 클릭
A == 새 호스트 생성
![dns 호스트 생성](https://blog.kakaocdn.net/dn/83Y7x/btrsO2I3bKG/nA4VGHfaaQJuk03HBCoXfK/img.png)
www => 이름
IP 주소까지 입력해주시고 호스트 추가~
![주소와 아이피 주소 기입](https://blog.kakaocdn.net/dn/bHbYqV/btrsMbtcaBF/KK9FAy7k5JMWE71ckFkveK/img.png)
CNAME == 새 별칭
![새 별칭 설정](https://blog.kakaocdn.net/dn/cKhhoT/btrsO3uqpsf/4MKZEMNC4bDmwQKKQMtDR1/img.png)
별칭 이름 => ftp
대상 호스트의 FQDN => www
로 설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별칭 이름 대상 호스트 설정](https://blog.kakaocdn.net/dn/bo9CHB/btrsO3gTrbZ/2Fiaka8iYmn0uUnSZ4eV2K/img.png)
DNS 설정은 약간 공부가 필요한 파트입니다. 위의 그림에 나온 것들은 외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리눅스의 DNS 설정도 위와 같은 이해 방식입니다.
반응형
'재미로하는 공부 > 네트워크관리사2급 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 라우터 예제 2번 (0) | 2022.02.08 |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 라우터 예제 1번 (0) | 2022.02.08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 웹사이트 추가 설정 (0) | 2022.02.08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 DHCP 설정 (0) | 2022.02.08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실기 - 작업 스케줄러 (0) | 2022.02.08 |